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IOC, FOK 가장 쉬운 설명! 삼성전자 예시로! (IOCFOK, FOKIOC)

by 박오밥나무 2020. 4. 13.

안녕하세요. 박오밥나무입니다.

오늘 주제는 IOC / FOK 주문에 대한 설명입니다.

 

일상에서는 많이 듣지 못하는 용어이지만,

IOCFOK, IOC 거래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식거래를 할 때 호가창에서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닌데,

영어로 써서 괜히 있어보이고 어려워 보이네요.

 

각설하고 바로 설명들어갑니다!

"IOC → FOK"

순으로 가보겠습니다!

 


IOC

IOC는 흔히 올림픽 위원회인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Immediate or Cancel' 의 약자로,

말 그대로 '즉시 아니면 취소'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하면,

'매도 or 매수 주문 즉시 체결 후 남은 수량 취소'

라는 의미입니다.

잘 이해가 안 가시죠?

 

실제 삼성전자 호가창을 보며 설명드릴게요.

키움증권 영웅문 2020년 4월 13일 삼성전자 호가창

위의 경우에 제가 삼성전자 주식 4만 주48,700원

IOC 지정가 매수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치만 현재 48,700원에 주식은 35,473주 밖에 없죠?

 

따라서 IOC 매수를 할 경우에는,

48,700원에 35,473주를 즉시(Immediate) 매수한 후

나머지 4,527주는 자동으로 취소(Cancle)하게 됩니다.

 

그래서 IOC(Immediate or Cancle)로 불립니다.

 

매도할 경우에는 반대로 생각하면 되겠죠?!


FOK

FOK는 "Full or Kill" 의 약자로,

말 그대로 '꽉 채울 거 아니면 하지마라'라는 의미입니다!

단어가 좀 쎄네요. 킬이라니..

 

쉽게 말해,

'주문 즉시 전량 체결되지 않으면 주문 자체를 취소'

하라는 의미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삼성전자 호가창을 보며 설명드리겠습니다.

키움증권 영웅문 2020년 4월 13일 호가

위의 경우에 제가 삼성전자 주식 10만 주48,550원

FOK 지정가 매수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치만 현재 48,550원에 주식은 98,640주 밖에 없죠?

 

여기서 FOK 매수의 경우에는,

48,550원에는 주문 시 목표한 10만주를 매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1주도 매수하지 않고 전량 주문 취소됩니다.

 

IOC와 마찬가지로 FOK 매도는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리

IOCFOK(FOKIOC)의 경우 전략적으로 사용하거나,

편의를 위해 사용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랄게요!

 

그치만 IOC, FOK 모두 세부적인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즉, IOC는 주로

'지정가 IOC, 보통가 IOC, 시장가 IOC, 최유리 IOC'

등으로 나뉘고,

 

FOK 또한,

'지정가 FOK, 보통가 FOK, 시장가 FOK, 최유리 FOK'

등으로 나뉩니다.

 

해당 부분은 최우선 지정가, 최유리 지정가, 조건부 지정가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 좀 더 세부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추후 궁금하신 분이 있으시면,

추가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포스팅 완료했습니다! 아래 링크 남겨둘게요.)

 

 

  - 2편 : 보통가 IOC / 시장가 IOC / 최유리 IOC

  - 3편 : 보통가 FOK / 시장가 FOK / 최유리 FOK

댓글